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 대한민국 산업지형의 대전환과 미래 성장 전략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출범은 대한민국 산업 수도 울산이 전통 제조업 기반에서 벗어나 첨단 AI 및 에너지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재탄생하는 중대한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2025년 6월 20일,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출범식은 이러한 변화의 상징적인 시작을 알렸으며, 국가적 차원의 AI 고속도로 구축 및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 비전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수도권에 집중된 첨단 산업 인프라를 지방으로 확산시키는 지역 균형발전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울산의 지리적, 산업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한민국 미래 성장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의 의미와 배경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출범은 단순히 새로운 시설의 건립을 넘어, 국가 AI 전략의 핵심 인프라이자 지방 균형발전의 상징적인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지역 공식 일정으로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을 선택하며, 전통 제조업 도시인 울산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했습니다.
1.1. 국가적 AI 비전과의 연계: 'AI 고속도로'와 '글로벌 AI 3대 강국'
이재명 대통령은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정부가 구상하는 AI 고속도로에 강력한 새 엔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AI 시대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와 연산 기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핵심 인프라로서의 데이터센터 역할을 상징합니다. 정부는 울산 데이터센터를 통해 대한민국이 2030년까지 글로벌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초석을 마련하고, AI를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으로 삼아 'AI 대전환(AX)'을 이루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AI 데이터센터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및 관련 지원 법안 논의에 적극 참여하는 등 민간의 노력을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1.2. 울산의 전략적 중요성: 전통 산업 도시의 첨단화
울산은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대한민국 전통 산업의 심장부였으나, 이제 AI 인프라 확보를 통해 글로벌 AI 데이터 산업의 전략 거점으로 거듭나며 첨단 산업 구조로의 전환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울산은 대규모 전력 공급 인프라(LNG 열병합발전소)와 냉각 수단(LNG 냉열) 확보가 용이하며, 대규모 산업단지에서 매일 생산되는 방대한 양의 산업 데이터가 AI 학습에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AI 데이터센터를 운용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점은 수도권에 집중된 데이터센터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산업과 AI 기술을 연계하여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살아있는 테스트베드 도시'로서의 울산의 잠재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1.3.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과 협력
울산시와 정부는 울산 AI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왔습니다. 울산시는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고 신속한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여 통상 1년 이상 걸리는 인허가를 단 5개월 만에 마무리하는 등 적극적인 '기업 친화 행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행정 지원은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또한 울산 방문을 통해 AI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며, 울산을 '아시아태평양 AI 데이터 산업의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2.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기술적 특성 및 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용 시설로서, 최첨단 기술 사양과 친환경 운영 시스템을 자랑하며 글로벌 AI 인프라 경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1. 주요 사양: GPU, 전력 용량, 네트워크
SK그룹과 AWS가 총 7조 원을 투자하여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 SK케미칼 부지에 조성되는 이 데이터센터는 약 6만 장 이상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는 일반 데이터센터보다 약 20배 높은 전력과 정밀 냉각 환경을 요구하는 AI 컴퓨팅에 최적화된 설계입니다.
데이터센터는 2025년 9월 착공하여 2027년 6월까지 1단계 41MW(메가와트) 규모로 가동을 시작하고, 2029년 2월까지 103MW 규모로 전체 완공될 예정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약 50조 원 규모, 1GW(기가와트)급까지 확장하여 동북아시아 최대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한다는 야심 찬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부산 육양국과 가까워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글로벌 확장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2.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시스템
AI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울산은 이 문제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전력 공급: SK가스의 LNG 열병합발전소에서 대용량 전력(총 1.2GW 생산 가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
냉각 시스템: 액화천연가스(LNG)가 연료로 사용될 때 기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하 162도의 막대한 '냉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데이터센터 냉각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는 국내에서는 드문 액체 냉각 기술 도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력 비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재생에너지 연계: 울산은 2030년부터 가동될 예정인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통해 재생에너지 100%(RE100) 달성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의 선도적 모델이 될 잠재력이 큽니다.
2.3. 참여 기업 및 협력 모델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공동 투자를 통해 민간 주도의 '초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SK그룹은 계열사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
SK텔레콤: AI 클라우드 운영 및 인프라 기획, AI B2B 사업 본격화.
•
SK브로드밴드: 데이터센터 구축 노하우 및 운영.
•
SK에코플랜트: 친환경 설계 및 고효율 냉각 시스템 구축.
•
SK가스: LNG 열병합발전소를 통한 전력 및 냉열 공급.
•
SK하이닉스: HBM(고대역폭 메모리) 기술 기반 고성능 연산 지원.
이러한 수직 계열화된 역량은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AI 데이터센터가 지역 경제 및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시설 유치를 넘어 울산 산업 지형에 '지각변동'을 예고하며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긍정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3.1. 경제적 파급 효과 및 고용 창출
총 7조 원 규모의 대규모 민간 투자가 이루어지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고용 유발: 약 7만 8천 명에 달하는 직간접적인 고용 유발 효과가 기대되며, 건설 단계에서 일일 최대 1,120여 개의 일자리가, 완공 후에는 AI 관련 고급 인력 144명의 상시 고용이 창출될 것입니다.
•
경제적 파급: 총 약 25조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전망되며, 취득세, 재산세 등 약 200억 원의 지방세 창출 효과와 3년 주기 서버 교체 등에 따른 관련 기업의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기업 유치: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국내외 AI 혁신 기업들이 울산에 투자하고 유입되어, 울산이 대한민국 산업수도에서 국가 AI 산업 거점으로 재탄생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주의 '데이터센터 앨리' 사례와 같이 인구 유입과 경제 재도약을 도모할 수 있는 모델로 제시됩니다.
3.2. 산업 구조 고도화 및 AX(AI 대전환) 가속화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울산의 전통 제조업(조선, 자동차, 석유화학)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고 생산성을 혁신하는 'AI 대전환(AX)'을 가속화할 핵심 기반이 될 것입니다.
•
스마트 제조 혁신: AI 데이터센터는 생산성 혁신, 품질 고도화, 에너지 효율화, 안전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의 토대를 마련하며, HD현대중공업의 스마트 조선소 프로젝트인 FOS(Future Of Shipyard) 가속화와 같은 구체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산업용 로봇, 수소 모빌리티 등 주력 산업과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울산이 미래형 산업도시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
중소기업의 AI 접근성 강화: 대기업 중심의 기술 개발을 중소기업 현장에 적용하고, 실증을 통해 검증된 AI 모델을 다양한 기업군으로 확산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기술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입니다. 정부는 'AX 원스톱 바우처' 사업 확대를 통해 AI 스타트업 활성화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3.3. AI 인재 양성 및 혁신 생태계 조성
물리적 인프라 구축을 넘어 AI 생태계 전반의 설계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AI 인재 양성, 산학협력, 개방형 협력 모델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
인재 양성: UNIST의 우수한 연구 거점을 활용한 AI 연구개발, 현장 중심 AI 실증 프로젝트 발굴, 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이 필요하며, 지역 스타트업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울산형 AI 전환 모델'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울산시는 'AI 디지털배움터' 구축, 청년 대상 맞춤형 AI·소프트웨어 교육 확대 등 디지털 포용사회 실현에도 기여할 계획입니다.
•
산학협력: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전문 교육 과정 개설, 기존 인력의 재교육 투자, 그리고 기업 간 협력 및 데이터 공유 문화 정착이 중요합니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UIPA)은 지역 청년 IT 교육을 위해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사업'과 '하이테크형 공동훈련센터 사업'을 추진하며, AI 및 SW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
스타트업 육성: AI 혁신 기업들을 울산에 유치하여 지역에 많은 수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울산이 산업수도에서 국가 AI 산업 거점으로 다시 태어나는 기회로 삼을 것입니다.
4. 에너지 대전환 정책과 울산의 역할
울산은 AI 데이터센터 유치뿐만 아니라 국가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며, 친환경 에너지 산업 육성과 에너지 자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4.1.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 추진
울산 앞바다는 세계 최대 규모인 6GW(기가와트)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총 42조 원의 민간 투자가 투입될 이 사업은 2030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며, 국내 생산유발효과 65조 2천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7조 6천억 원, 고용유발효과 27만 2천여 명 등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됩니다.
•
정부 및 지자체 정책 방향: 정부는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산업 분류 코드를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에 추가하여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울산경제자유구역청은 북항·남항 및 배후단지 일대를 '그린에너지항만지구'로 추가 지정하여 해상풍력 산업 전주기 집적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
민간 투자 및 기술 개발: 노르웨이 에퀴노르, 영국·프랑스 바다에너지 등 국내외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울산에 지사나 센터 설립을 추진하며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과 울산항만공사는 해상풍력 지원 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협력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등 지역 조선해양 플랜트 기업들의 기술력이 부유식 구조물 제작에 활용되어 국내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4.2. RE100 국가산업단지 조성 및 울산의 강점
대통령실은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RE100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며, 울산을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울산의 입지적 강점: 울산은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원이 풍부하고, 미포·온산국가산업단지 등 대규모 전력 소비처가 밀집해 있어 '지역의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하는(지산지소)' RE100 산단 모델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
정책적 인센티브: 이재명 대통령은 RE100 산단에 대해 "규제 제로"와 "파격적인 전기요금 할인"을 검토하도록 지시하며, 교육·정주 여건 개선 등 과감한 정책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는 기업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주춧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3. 에너지 자립 및 탄소중립 실현
울산은 '울산형 그린뉴딜' 정책을 통해 수소경제, 원전해체산업,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등 4대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하며, 전력 수급과 탄소중립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합니다. 한국동서발전 등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도 울산을 청정에너지 허브로 발전시켜 탄소중립 실현의 전진 기지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울산이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디지털 산업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구조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5. 지역 균형발전 및 초광역 경제권 전략
울산 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대전환 정책은 단순히 울산 지역만의 발전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지역 균형발전과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초광역 경제권 구축 전략과도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5.1.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과 정부 지원
부울경 메가시티는 인구 790만 명(2025년 기준)에 달하는 부산, 울산, 경남을 하나의 생활권이자 경제권으로 묶어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으로 육성하려는 국내 최초의 초광역 협력 모델입니다. 이는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응하고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전략입니다.
•
정부 지원 및 법적 기반: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특별지방자치단체' 기반으로 추진되어, 2022년 1월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법적 근거를 확보했습니다. 행정안전부의 규약 승인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교통·산업·복지·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공동 사업을 논의했습니다.
•
주요 목표: 부울경 메가시티는 GRDP(지역내총생산)를 275조 원에서 2040년 491조 원으로 끌어올리고, 1시간 생활권 형성 및 인구 1천만 명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선협력 후통합' 원칙을 강조하며, 경제권과 생활권이 하나 되게 만드는 사업이 우선임을 강조했습니다.
5.2. 동남권 순환광역철도 사업
동남권 순환광역철도는 부울경 메가시티 실현의 핵심 물리적 인프라입니다.
•
사업 현황 및 추진 일정: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노포~웅상~KTX 울산역, 47.4km, 사업비 2조 5,475억 원)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하여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KTX 울산역~양산~김해 진영, 54.6km, 사업비 3조 12억 원)도 예타 대상에 선정되어 2032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
기대 효과: 이 철도망이 구축되면 부산~울산~경남이 1시간 생활권으로 묶여 인구·산업·자원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과 연계하여 부울경의 재도약 교두보 역할을 할 것입니다.
•
정부의 의지: 이재명 대통령은 동남권 순환광역철도의 신속한 추진을 약속하며, 지역 균형발전의 핵심 동력임을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5극 3특 체제'를 통해 전국을 초광역권으로 나누어 고른 성장을 유도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5.3. 수도권 집중화 해소 및 지방 성장 동력
울산 AI 데이터센터와 연계된 에너지 대전환, 초광역 철도망 구축 등은 수도권 중심의 산업 모델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제조+AI'라는 새로운 국가 전략을 실현할 실질적 거점으로 부상하며,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첨단 기술 산업이 수도권에서만이 아니라 지방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범적 사례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강조하며, 지방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6. 과제 및 리스크
울산 AI 데이터센터 및 관련 대규모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과제와 리스크를 해결해야 합니다.
6.1. 전력 인프라 및 계통 보강
AI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비를 요구하며, 이는 기존 제조업 중심 도시인 울산의 높은 전력 수요와 맞물려 계통 보강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전력망 연결 지연은 사업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수도권 데이터센터 집중으로 인한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도 지방 데이터센터에는 큰 도전입니다. 정부는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 확보를 위해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속 처리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6.2. 데이터 확보 및 활용의 법적·기술적 과제
AI 데이터센터가 'AI 고속도로'라면, '데이터'는 이 고속도로를 달릴 '연료'에 비유됩니다. 울산은 풍부한 산업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보안, 개인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실제 AI 학습에 활용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데이터의 안전한 수집, 가공, 공유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술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며, 연합학습, 합성 데이터 생성 등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면서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 도입이 필요합니다.
6.3. 인재 확보 및 정주 여건 개선
AI 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물리적 인프라와 더불어 우수 인력의 확보 및 정주 여건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AI 인력 생태계를 지방으로 유인하기 위한 정책적·문화적 기반 조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AI 데이터센터 운영 및 유지 보수, AI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세대가 역량을 키워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 현장 맞춤형 AI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며 기존 재직자들의 AI 전환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4. 정책의 지속성과 소지역주의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처럼 지역 균형발전 정책은 정권 교체나 단기적인 정치 논리에 따라 흔들릴 위험이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 일부 지자체는 부산 중심의 '빨대 효과'를 우려하며 메가시티 참여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성공적인 초광역 협력을 위해서는 지방 정부의 성숙한 책임감과 일관된 리더십이 요구되며, 소지역주의를 넘어선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력해야 합니다. 정부는 AI 데이터센터 및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세액공제 확대, 지원 법안 논의 등 제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결론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출범은 대한민국 산업 지형을 재편하고 AI 시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국가적 전략의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울산이 가진 풍부한 에너지 인프라, 제조업 기반,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은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핵심 동력입니다. 이를 통해 울산은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AI 산업의 허브이자 에너지 대전환의 전진 기지로 자리매김하며, 지역 균형발전을 넘어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전력 수급, 데이터 활용, 인재 양성 등 남겨진 과제들을 해결하고 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울산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입니다.
출처:
[1] [울산, 산업수도에서 AI 수도로]지역 AI 생태계 전반 설계, 데이터센터와 ..., http://www.ulsa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289
[2] AI 대전환의 시대 데이터센터 지원하고 GPU확보 속도 내고 - 문화포털, https://www.culture.go.kr/news/newsView.do?news_sn=148945875&cPage=1
[3] [울산, 산업수도에서 AI 수도로]주력산업·AI기술 융합으로 ... -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1176
[4] 울산광역시 대표누리집 > 시정소식 > 보도 / 해명 > 보도자료 | 상세보기, https://www.ulsan.go.kr/u/rep/bbs/view.do?mId=001004003001000000&bbsId=BBS_0000000000000027&dataId=172896
[5] [뉴스&분석]AI 글로벌 3대 강국을 향한 산업수도 울산의 역할은...'제조+ ...,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480
[6] 그래! 역시!, 울산의 두 번째 산업혁명 AI,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3241
[7] 울산에 동북아 최대 AI 데이터센터...유치 배경은? - YTN, https://www.ytn.co.kr/_ln/0115_202506202107307185
[8] 이재명 대통령, "목표는 3강!... AI 강국을 위해 민관이 뭉쳤습니다.",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5349
[9] 산업 지형 재편…울산 AI 데이터센터 효과는? - KBS 뉴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83921
[10] 울산에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 SK, AI시대 선도한다 - 뉴스메카, https://www.newsmc.net/news/articleView.html?idxno=66995
[11] 울산에서 돛 펼친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의미는? -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2016020000778
[12] '울산 AI 데이터센터' 유치로 7만8000여명 고용효과 창출, 주택시장 수혜, https://news.nate.com/view/20250717n20500
[13] 李대통령,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AI 고속도로로 글로벌 3 ...,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4882
[14] [경상시론]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 울산일보, http://www.ulsa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519
[15] 李대통령 "울산 AI 데이터센터, 대한민국 성장 꽃 피울 출발점", https://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462
[16] 대한민국 AI고속도로를 통해 AI 3대 강국 도약 -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44771&pWise=sub&pWiseSub=C4
[17] AI 데이터센터, 21세기 디지털 황금 광산으로 부상 - 이재명 대통령의 ..., https://www.korea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711
[18] 7조 데이터센터 유치..."울산에 풍부한 산업 데이터를 연료로 AI ..., https://m.usjournal.kr/news/newsview.php?ncode=1065615693820194
[19] SK-AWS 울산 AI 데이터센터, AI 고속도로의 거점으로 - SK텔레콤 뉴스룸, https://news.sktelecom.com/213316
[20] AI 고속도로 깔린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본격 착수 | 정책주간지 공감, https://v.daum.net/v/YiYol40CKl
[21] 국내 최대 규모의 울산 AI데이터센터 공식 출범 -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047
[22] AI 3대 강국 공약 시동…李 대통령, 울산 AI 데이터센터서 산업 전략 첫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62010291132009
[23] AI 대전환의 시대 데이터센터 지원하고 GPU확보 속도 내고 -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5875
[24] "'AI 3대 강국' 주춧돌"…SK, 울산에 'AI 고속도로' 엔진 달았다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11200003
[25] 미래 산업지형 바꿀 울산 AI데이터센터,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3091
[26] 산업 지형 재편…울산 AI 데이터센터 효과는?,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84027
[27] SK, 울산 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은 SK가스가 담당 예정...GPU는 ..., http://www.lkp.news/news/articleView.html?idxno=65519
[28] 이재명 대통령 공약한 'AI 고속도로' 현실로…"AI '3대 강국' 향한 힘찬 첫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62014281330812
[29] 울산, 산업수도에서 'AI 수도'로 거듭난다 - 헤럴드경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52489
[30] [목요칼럼]AI 데이터센터에 데이터가 없다면? -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1567
[31] [사설] SK-아마존, 울산 AI전용 데이터센터 건립 의미,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103
[32] 이 대통령 “AI 고속도로로 세계 3대 강국 도약”…울산에 7조 원 규모 ..., https://www.newswhoplu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70
[33] “울산형 그린뉴딜로 에너지 자립과 함께 친환경에너지 산업 육성한다 ..., http://www.keaj.kr/news/articleView.html?idxno=3471
[34] 장병태 UIPA 원장 "울산은 '제조업 수도'서 'AI 수도'로 탈바꿈 중", https://zdnet.co.kr/view/?no=20250808194945
[35] 울산에 대규모 'RE100 국가산업단지'들어서나,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4858
[36] [경남도/부산시/울산시]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으로 '메가시티' 실현 ..., https://www.localnewsro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1
[37] 울산과 함께 탄소중립 실현 전진기지 자리매김,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5633
[38] 정보공개 : 주요시책 : 핵심정책 :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 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kr/megacity0302
[39] 울산 앞바다에 42조 바람길…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추진 - Daum, https://v.daum.net/v/20250805175117115
[40] 대통령실 "RE100 산단 조성 특별법 추진…서남권·울산 검토"(종합), https://kbthink.com/news-list/view.html?newsId=20250710174200816
[41] 이 대통령 “울산 AI데이터센터, 지방 경제산업의 새로운 희망”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506201222001
[42] 대통령실 “RE100 산단 특별법 추진”…유력 후보지로 울산 부상,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71018085027297
[43] 이재명 정부의 풍력발전 정책 - 윈드코리아, https://www.windkorea.kr/37
[44] 2024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포럼' 성황리에 마무리 - 울산상공회의소, http://ulsancci.korcham.net/front/board/boardContentsView.do?boardId=10102&contId=105129
[45] 광역철도는 추진되는데, 부울경 메가시티는 왜 멈췄나 - 울산신문,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5379
[46] [데스크 칼럼] 다음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다 - 부산일보, 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71417552212765
[47] 대통령실 “RE100 산단 특별법 정기국회 내 추진”…서남권·울산 유력, https://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1207389.html
[48] 울산 지자체장·기관장 한자리… “전력망은 산업의 생명선” - 전기신문,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8117
[49] 보도자료 | 한국에너지공단-울산항만공사,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지원 ..., https://www.knrec.or.kr/biz/pds/news/view.do?no=441
[50] 한국에너지공단,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 지원 인프라 활성화 ..., https://www.upa.or.kr/portal/board/post/view.do?bcIdx=671&mid=0501010000&&idx=13092
[51] '1시간 생활권' 부울경 메가시티 뭐가 좋아질까?,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Y598bo_AAuG4CE9NARrcjA1guLLRpw
[52] [논설위원의 뉴스 요리] 부울경 메가시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50815524776321
[53] '부울경 메가시티'로 초광역 협력 모델 선도한다! : 부산소식 - 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kr/nbtnewsBU/1507803?curPage=4&srchBeginDt=&srchEndDt=&srchKey=&srchText=
[54] 동남권(부울경) 메가시티 기본구상 및 전략 -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94029
[55] 부울경, 신규 광역철도 사업 건의... 울산 - 철도뉴스 - 철도산업정보센터, http://www.kric.go.kr/jsp/board/portal/sub01/railNewsDetail.jsp?p_id1=M01060101&p_id2=616184&p_id3=2025.03.06
[56] 울산경자청, '풍력발전업·송전 및 배전업' 핵심전략산업 추가 고시, https://www.mt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2314
[57] [사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부울경 초광역경제권 견인차 - 부산일보,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71017532369607
[58] 부울경 메가시티 정책과 지역균형 발전 - 지방공기업평가원, https://www.erc.re.kr/webzine/vol38/sub16.jsp
[59] 소지역주의에 '좌초' 위기 처한 부울경메가시티…길 잃은 균형발전, https://www.khan.co.kr/article/202207140850011
[60] 민홍철의원 공약달성! 동남권순환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https://www.news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41806
[61] 부울경메가시티 설치 '특별연합 규약안' 행정예고 - 경남미디어, https://www.mediag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69
[62] 동남권순환광역철도 예타 대상 선정, 노선도, 역위치, 진영, 김해, 물금 ..., https://blog.naver.com/yak-bang/223642752908?fromRss=true&trackingCode=rss
[63] 동남권 순환철도 예타 대상에 선정 - 울산신문,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38477
[64] 부산시·울산시·경남도, 3개 시·도 잇는 "광역철도 조기 구축" 공동 건의, https://www.busan.go.kr/nbtnewsBU/1632830?curPage=5&srchBeginDt=&srchEndDt=&srchKey=&srchText=
[65] 울산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출범 계기,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7876&pg=&pp=&topic=L
[66] 7조원 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했지만 현장선 '볼멘소리' -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50664114
[67] [SK, AI DC 도전]① SK, 울산에 7조 'AI 데이터센터' 건설…동북아 최대 ...,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506211556015360776
[68] '울산 AI데이터센터' 9월 착공…국내 최대 규모 AI 인프라 허브 탄생, https://ujnews.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9378377364
[69] “데이터센터,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달라요” 그 차이는?, https://news.skecoplant.com/plant-tomorrow/18700/
[70] '풍부한 전력·신속 인허가' 울산,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유치 -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615420003753
[71] "AI 데이터센터 건립 연계 기술·인력·인프라 구축 전략 정책 ... - 울산신문,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4043
[72] AI가 바꾼 데이터센터의 패러다임 | SK에코플랜트 뉴스룸, https://news.skecoplant.com/plant-tomorrow/18677/
[73] 울산시, 아시아태평양 AI 데이터센터 중심 도약 '시동'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50623n02941
[74] 이재명 대통령, 울산 AI 데이터 센터 출범식 격려사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PYH20250620080000013
[75] 이재명·최태원, 울산서 AI 미래를 외치다…7조원 AI 데이터센터 출범,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7326
[76] [IT클로즈업] SK-AWS 울산 데이터센터 빅딜, 어떻게 성사됐나?, https://m.ddaily.co.kr/page/view/2025061712043364715
[77] [경제칼럼] 울산이 AI산업허브가 되기 위해 해야 할 일,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247
[78] [임원 칼럼] '돈 버는 AI' 의 첫 시작, SK AI 데이터센터 사업 추진 계획, https://news.sktelecom.com/213527
[79] 이 대통령 "과감한 세제 혜택·규제혁신… AI시대 고속도로 구축",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4726
[80] 울산에 AWS와 데이터센터 짓는 SKT “수도권 보다 전력·부지 확보 ...,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7/03/I546WISW5JBHHEVZL74C2TYFIE/
[81] 울산 AI데이터센터 부지도 기회발전특구에 포함 - Daum, https://v.daum.net/v/20250730001753016?f=m
[82] 울산에 동북아 최대 AI 데이터센터…유치 배경은?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50620n31428
[83] [팩플] 7조원 규모 AI데이터센터 구축…막오른 AI 데이터센터 경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343
[84] 호주 가려던 아마존, 울산이 제조업·전력으로 잡았다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6/21/ID2XT5QATFDXFJZ24VSAHM364Q/
[85] 울산,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유치…“성과 뒤 준비는...?” - 시사매거진,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6882
[86] SKT-AWS, 韓최대 울산데이터센터에 7조 투자…AI고속도로 시발점,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08100017
[87] 23년『국가 AI데이터센터 서비스』 모집 공고 -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http://www.aica-gj.kr/sub.php?PID=0401&page=&category=&searchText=&searchType=&action=Read&idx=1610
[88] 부ㆍ울ㆍ경, "동남권 잇는 광역철도...지역균형발전 핵심동력",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12
[89] 울산에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글로벌 지형도 대격변 예고,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105
[90] 울산 국내 최대 AI데이터센터 조성…부동산 낙수효과 기대 - 매일일보,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57506
[91] 두차례 유찰 국가 AI 데이터센터 재공모...기업들 “비수도권 설치 부담”,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8/12/NOKNN2NMWJEUDKUIJEKVH76MN4/
[92] 李대통령 "경부고속道 산업화 이끌었듯 AI시대 고속도로 구축"(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068051001
[93] 광역철도 2031년 개통‥ 부울경 45분 생활권 - 울산MBC, http://www.usmbc.co.kr/article/MnFR7KnXq7ejI-A
[94] [HWP] 3 - 산업통상자원부, https://www.motie.go.kr/attach/down/095a2dda9c864e1d90d751f7668a1117/b688b785f7486c7363e97215a4e45e95/778bdbf5db9ced7c8fd52756c00bf0cd
[95] 광역철도로 동남권 균형발전 이끌기를 - 울산신문,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4965
[96] 'AI고속도로'에 늘어날 비수도권 데이터센터…"구축 컨설팅"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33000017
[97] 울산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SKT "전력·부지 확보 최적지"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3059500017
[98] AI 패권 전쟁, 고성능 디지털센터 확보에 달렸다, https://news.skecoplant.com/plant-tomorrow/18617/
[99] SK, 울산에 국내 첫 하이퍼스케일 AI DC 구축 - 시사캐스트, http://www.sisacast.kr/news/articleView.html?idxno=76234
[100] 아마존 손잡은 SK…AI 데이터센터로 25조 경제효과 이끈다, https://www.mk.co.kr/news/it/11373458
[101] [사설]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본격화, 산업생태계 흡수 준비 됐나,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6078
[102] 울산, 신재생에너지 기반 산업 생태계 혁신... 부동산 시장도 기지개, https://www.thevaluenews.co.kr/news/191387
[103] 대통령실 "RE100 산단 특별법 추진"…李대통령 "규제제로 검토"(종합), https://www.keei.re.kr/board.es?mid=a10202010000&bid=0007&act=view&list_no=125506
[104] 6GW 규모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 속도 붙는다 - 전기신문,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8573
[105] 국내 첫 특별지자체 '부울경특별연합' 설치, 동북아 8대 메가시티 도약,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91586
[106] 울산시-투자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의기투합' - 울산신문,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38815
[107]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산업 속도낸다,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6798
[108] 부울경, '부산-양산-울산 광역鐵' 예타통과 한 목소리 - 철도산업정보센터, http://www.kric.go.kr/jsp/board/portal/sub01/railNewsDetail.jsp?p_id1=M01060101&p_id2=632286&p_id3=2025.05.13
[109] 김정호, '부울경 메가시티 특별법' 발의…"지역 생존전략"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07041000052
[110] 김경수 '메가시티' 정책 혹평 박완수, 지방시대위와 호흡은?,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41336
[111] 재생에너지(RE)와 무탄소에너지(CFE) < 기획취재 < 넷제로프렌즈가 ..., https://www.2050cnc.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67&boardNo=3678&searchCategory=&page=1&searchType=&searchWord=&menuLevel=3&menuNo=19
[112] 김정호, '부울경메가시티 특별법' 발의…1호 법안 - 뉴스1, https://www.news1.kr/local/busan-gyeongnam/5440178